제목각계와 소통 '지식산업경제도시' 비전공유 급하다
- 작성자
- 이언경
- 작성일
- 2008/09/04
- 조회수
- 872
[매일신문] 2008/08/26
지역 경제전문가 40명이 본 "대구경제 이래야 한다"
경제리더들은 경제자유구역 지정에 맞춰 지식기반산업을 육성하려는 대구시의 비전과 계획에 공감을 하면서도 전략과 실행계획에 대해서는 확신을 갖지 못했다. 또 지역에서 시급한 인프라나 전략산업 방향은 대체로 시각이 근접했다.
대구시가 표방한 ‘글로벌 지식산업경제도시’에 대해 경제 리더들은 ‘잘 알고 있다’(6명)거나 ‘알고 있다’(21명)는 응답이 64%였지만 ‘들은 적은 있지만 잘 모르거나 전혀 모른다’는 응답도 32.5%(13명)에 달했다.
대구시의 경제·산업비전인 ‘글로벌 지식산업경제도시’에 대해 리더들은 ▷쉽지 않지만 불가피한 선택(17명)과 ▷교육·의료 등 지역인프라를 잘 반영한 비전(8명) 등 62.5%가 긍정적으로 답했다. ▷다른 시도와 차별성이 없다(9)거나 ▷구체화하기 힘든 ‘뜬구름 잡기’(6명) 라는 반응도 37.5%에 이르렀다.
이는‘글로벌 지식산업경제도시'라는 비전을 공유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고 특히 대구시장이 이점에 대해 각계각층과 소통이 절실함을 말해주는 대목이다.
지역경제 회생을 위한 근본방안으로 인프라 부문(복수응답)은 ▷대규모 국가공단 조성(26명) ▷영남권 허브공항 건립(26명)이 시급하다고 답변했다. 협력업체들을 동반견인할 수 있는 대기업 유치를 위한 산업용지 확보와 투자유치의 핵심조건인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영남권 허브공항이 절실함을 반영했다.
이밖에 연구소 및 관련 공공기관 유치(17명), 교육·의료 등 정주여건 개선(11명), 도심 노후공단 정비 및 이전(9명)에도 많은 관심을 나타냈다.
산업(소프트웨어)부문에서는 ▷최소 10조단위의 복합개발 국책프로젝트 발굴(17명) ▷대구경북 경제통합 강화(16명) ▷대기업 유치(14명) 등을 많이 들었지만 ▷섬유·기계 등 기존 주력산업의 업그레이드(16명) 응답도 적지 않았다.
영남대 이재훈 교수는 “대형 국책프로젝트 발굴·유치나 섬유·기계 등 기존 주력산업을 강화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은 것은, 중앙집권적 경제구조하에서 정부 지원 없이는 지역경제에 파급효과가 큰 사업을 자체적으로 시행하기 어려운 현실을 반영한 것”이라고 했다.
또 대구시가 경제 회생을 위해 채택한 전략산업 가운데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산업(복수응답)은 ▷공작기계, 특수용기계, 자동차부품 등 메카트로닉스(29명) ▷통신기기, 소프트웨어 등 모바일산업(12명) ▷섬유제품, 봉제의류, 패션 디자인 등 섬유산업(10명) 순으로 높게 대답했고 ▷고무, 화학제품, 비금속광물, 반도체 및 전자부품 등 나노산업(7명) ▷식품가공, 유가공, 음료 및 식품제조, 한방, 의약품 등 생물산업(6명) 육성이 그 뒤를 이었다.
이 같은 응답은 현재의 지역 산업기반과 기술력, 해외수요 등을 고려할 때 지역 전략산업 중에서 메카트로닉스가 가장 유망한 것으로 보고 있는 것을 반영하는 것. 최근 이명박 대통령이 천명한 ‘저탄소 녹색 성장’ 전략을 고려하거나 지식기반서비스산업까지 범위를 넓힐 경우에는 환경산업이나 교육의료산업 등도 포함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대구시가 투자유치에 역점을 두어야 할 업종·부문(복수 응답)은 ▷로봇·지능형자동차 등 첨단산업(28명) ▷교육·의료 등 지식기반산업(17명)이 대다수를 차지, 대구시의 정책방향과 일치했다. 전통제조업(4명)과 서비스·위락산업(2명), R&D 기관 등 기업지원 기관(2명)은 소수에 그쳤다.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대구시가 단기적으로 역점을 두고 추진해야 할 과제(복수 응답)로는 ▷외지 기업 유치에 상응하는 인센티브의 지역 기업 제공(24명) ▷마케팅·컨설팅 등 지원서비스 강화(16명) ▷건설경기 활성화(13명)를 꼽았다. 대형 유통업체 진출 억제는 5명에 그쳤다.
대구시가 기업 지원에 역점을 둬야 할 분야(복수 응답)는 ▷연구개발 및 기술지원(27명) ▷경영지원(마케팅, 컨설팅)(17명) ▷세제지원(14명) ▷자금지원(12명) ▷인력양성 및 교육훈련(8명) 순으로 나타났다.
영세 중소기업의 비중이 매우 높은 지역 산업의 구조적 특성을 반영한 것으로 해석된다. 자본의 회임기간이 길고 우수 인력이 소요되는 연구개발 및 기술지원에 대한 니즈가 가장 큰 것으로 분석된다.
대구경북의 협력과 관련 경제통합 노력에 대해서는‘보통이다(19명)’와 ‘잘되고 있다(11명)’는 응답이 주류를 이뤄 긍정적으로 평가했고 '잘 안되고 있다’는 응답은 10명에 그쳤다.
경제통합 측면에서 볼 때 이해관계가 상충하는 일부 분야에서는 시도의 협력이 삐걱대는 경우도 있지만 비교적 대구경북은 자치단체장끼리의 협조가 원활하고 가시적인 성과를 거둔 것으로 평가했다.
대구와 경북 공동 발전을 위해 가장 협력이 필요한 분야는 경제(25명)와 행정(11명)이 절대 다수를 차지했고 연구개발(4명), 교통·물류(4명)에 대한 협력요구도 있었다.
이춘수·이재협·최경철·모현철기자
◆지역 경제리드의 생각 들어보니
◇이인중 대구상의 회장=지역자금 역외유출을 최소화하기 위해 지역업체와 경쟁관계인 외지기업, 특히 유통·건설분야의 진출을 억제하고 전략사업 유치를 강화해야 한다. 또 지역에 본사를 둔 기업유치도 강화해야 한다.
◇이화언 대구은행장=정부의 녹색성장 전략에 부응해 환경·에너지 전략을 짜고 대구의 산업지도를 보완·조정하기 위한 그랜드 디자인(Grand Design)도 필요하다.
◇이인선 대구경북과학기술연구원장=우수인력 유치와 양성을 위한 기반조성에 힘쓰자. 대구의 비전에 대한 국내외 홍보에도 주력해야 한다.
◇이충곤 대구경북지능형자동차부품진흥재단 이사장=경제정책에 대한 홍보 부족으로 관심도가 떨어지고 추진력도 약화되고 있다. 대책을 세워야 한다.
◇박노욱 한국섬유개발연구원 이사장=기업인들 의욕이 많이 상실돼 있다. 기업인 사기진작 운동을 전개해달라. 또 경북지역과의 경제통합에서 연구개발, 생산, 마케팅에 대한 역할분담이 필요하다.
◇이후상 대구기계부품연구원장=일시적 경기부양 효과가 있는 단기적 투자보다 멀리보고 기술개발투자, 성장동력산업의 육성에 집중하자.
◇강삼중 중소기업중앙회 대구경북본부장·권업 계명대 교수=저렴한 공장용지 공급, 파급효과가 큰 대기업과 중견기업 유치, 고급 기술개발 능력 배양이 필요하다. 조성중인 산업단지에 굴지의 기업을 유치하기 위해 파격적인 인센티브 패키지를 조기개발하자.
◇구정모 대구백화점 대표=외지기업 유치만이 능사가 아니다. 외지 기업은 지역 공헌도가 낮지만 지역 기업은 지역에 있다는 이유로 공식·비공식적으로 많은 부담을 진다. 지역 기업에 대한 인식 전환과 지원이 더 절실하다.
◇이재하 삼보모토스 회장·이병무 한국무역협회 대구경북지부장=그린혁명 시대에 대비해 신재생에너지분야, 대체에너지산업에 역량을 집중하고 실버산업도 특화하자.
◇홍덕률 대구대 교수=경제도약을 위해선 경제외적인 정책·접근도 고려해야 한다. 신뢰문화 구축, 노사협력, 산학연관 협력체계 구축, 혁신적 마인드 확산, 개방적이고 진취적인 시민의식 등이 그것이다.
◇황하진 대구가톨릭대 교수=다른 지역과 차별화된 정책개발이 절실하다. 이를 위해선 공무원들의 안목과 식견, 업무능력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선행돼야 한다.
◇ 박성호 경일대 교수=첨단기술개발을 관주도형으로 지원할 경우 실패할 가능성이 높다. 자연발생적으로 첨단기술이 태동·성장하도록 하는 시스템 구축이 절실하다.
- 첨부파일
- 첨부파일없음
- 다음글
- 처장급 보직 인사